HTML, CSS, JavaScript, DOM, XML등 기존에 사용되던 여러 기술을 함게 사용하는 새로운 개발 기법입니다.
JavaScript의 라이브러리중 하나이며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비동기식 자바스크립트와 xml)의 약자입니다.
브라우저가 가지고 있는 XMLHttpRequest 객체를 이용해서 전체 페이지를 새로 고치지 않고도 페이지의 일부만을 위한 데이터를 로드하는 기법이며 Ajax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JavaScript를 사용한 비동기 통신,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XML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자바스크립트를 통해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입니다. HTML form 태그가 아니라 자바스크립트를 통해서. 따라서 우리는 새로고침을 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비동기(ASYNC) 방식이란?
비동기 방식은 웹페이지를 리로드하지 않고 데이터를 불러오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페이지 리로드의 경우 전체 리소스를 다시 불러와야 하는데 이미지, 스크립트, 기타 코드등을
모두 재요청할 경우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가 발생하게 되지만 비 동기식 방식을 이용할 경우 필요한 부분만
불러와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큰 장점이 있습니다.
Ajax를 사용하는 이유
기본적으로HTTP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쪽에서Request를 보내고Server쪽에서 Response를 받으면 이어졌던 연결이 끊기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화면의 내용을 갱신하기 위해서는 다시 request를 하고 response를 하면서 페이지 전체를 갱신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할 경우 페이지의 일부분만 갱신할 경우에도 페이지 전체를 다시 로드해야하는데 엄청난 자원낭비와 시간낭비를 초래하고 말것입니다. 하지만 ajax는 html 페이지 전체가아닌 일부분만 갱신할수 있도록 XML HttpRequest객체를 통해 서버에 request를 합니다. 이 경우Json이나xml형태로 필요한 데이터만 받아 갱신하기 때문에그만큼의 자원과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요새 웹페이지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속도가 아닐까싶습니다. 이 이유하나만으로도 Ajax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로써 충분합니다.
Ajax의 장점
웹페이지의 속도향상
서버의 처리가 완료 될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처리가 가능합니다.
서버에서 Data만 전송하면 되므로 전체적인 코딩의 양이 줄어듭니다.
기존 웹에서는 불가능했던 다양한 UI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사진공유 사이트 Flickr의 경우 사진의 제목이나 태그를 페이지 리로드 없이 수정할 수 있습니다.
Ajax의 단점
히스토리 관리가 안 된다.(보안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합니다.)
연속으로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 부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XMLHttpRequest를 통해 통신을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아무런 진행 정보가 주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직 요청이 완료되지 않았는데 사용자가 페이지를 떠나면 오작동할 우려가 발생하게 됩니다.
Jquery와의 시너지
Ajax하면 Jquery에 대한 설명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일반 Javascript만으로 Ajax를 하게되면 코딩량도 많아지고 브라우저별로 구현방법이 다른 단점이 있는데 jquery를 이용하면 더 적은 코딩량과 동일한 코딩방법으로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같은 동작을 할 수 있게 됩니다. jquery ajax를 사용하면, HTTP Get방식과 HTTP Post방식 모두를 사용하여 원격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Jquery는 Ajax처럼 JavaScript의 라이브러리 중 하나인데 자바스크립트를 좀 더 사용하기 쉽게 패키징화 시켜놓은 것입니다.
@Configuration은 스프링 IOC Container에게 해당 클래스를 Bean 구성 Class임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2. @Bean
@Bean의 경우 개발자가 직접 제어가 불가능한 외부 라이브러리등을 Bean으로 만들려고 할 때 사용됩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licationConfig{
@Bean
public ArrayList<String> array(){
return new ArrayList<String>();
}
}
@Bean 을 이용하여 Bean을 생성한 예제 입니다. 위와 같이 ArrayList같은 라이브러리등을 Bean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해당 라이브러리 객체를 반환하는 Method를 만들고 @Bean 을 적어주면 됩니다. 위의 경우 @Bean에 아무런 값을 지정하지 않았으므로 Method 이름을 CamelCase로 변경한 것이 Bean id로 등록된다.
(ex. 메소드 이름이 arrayList()인 경우 arrayList 가 Bean id)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licationConfig{
@Bean(name="myarray")
public ArrayList<String> array(){
return new ArrayList<String>();
}
}
위와 같이 @Bean 에 name이라는 값을 이용하면 자신이 원하는 id로 Bean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어노테이션 안에 값을 입력하지 않을 경우 메소드의 이름을 CamelCase로 변경한 것이 Bean의 id가 됩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licationConfig{
@Bean
public ArayList<Integer> array(){
return new ArrayList<Integer>();
}
@Bean
public Student student() {
return new Student(array());
}
}
의존관계가 필요할 때에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Student 객체의 경우 새성자에서 ArrayList를 주입 받도록 코드를 짜놓았다면 이럴때에는 Bean으로 선언된 array()메소드를 호출함으로써 의존성을 주입할 수 있습니다.
3. @Component
@Component 어노테이션의 경우 개발자가 직접 작성한 Class를 Bean으로 등록하기 위한 어노테이션입니다.
@Component
public class Student{
public Student(){
System.out.println("hello");
}
}
Student Class는 개발자가 사용하기 위해서 직접 작성한 Class 입니다. 이러한 클래스를 Bean으로 등록하기 위해 상단에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사용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omponent(value="mystudent")
public class Student{
public Student(){
System.out.println("hi");
}
}
@Component 역시 아무런 추가 정보가 없다면 Class의 이름을 Camelcase로 변경한 것이 Bean id로 사용된다. 하지만 @Bean과 다르게 @Component 는 name이 아닌 value를 이용해 Bean의 이름을 지정한다.
4. @Autowired
@Component
public class Pencil{
...
}
@Component(value="mystudent")
public class Student {
@Autowired
private Pencil pencil;
public Student(){
System.out.println("hi");
}
}
@Component를 사용한 Bean의 의존성 주입은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Student가 Pencil에 대한 의존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AutoWired 를 이용하여 의존성을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잇다. 이때 당연히도 Pencil도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IOE Container에 Bean으로 등록되기 때문이다.
@AutoWired의 경우 타입을 통해 해당 자리에 들어올 객체를 판별하여 주입해 준다. 따라서 해당 자리에 들어올 수 있는 객체가 여러개인 경우, 즉 다형성을 띄고 있는 객체타입에 @Autowired를 사용한 경우에는 @Qualifier("Bean이름")을 이용하여 해당 자리에 주입될 Bean을 명시해 주어야 한다.
위의 그림에서 Goods라는 인터페이스를 Computer와 Book이 구현하고 있으므로 Person클래스의 goods 참조변수에 위치할 수 있는 Bean이 Book, Computer 두가지 이다. 때문에 @Qualifier("Bean이름")을 통해 해당 자리에 위치할 빈을 명시하였다.
5. @Bean 사용방법
public class Student{
public Student() {
System.out.println("hi");
}
}
우선 의존성 주입 대상 Class를 생성한다. 생성자가 호출될 때 콘솔창에 "hi"를 출력하도록 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licationConfig {
@Bean
public Student student(){
return new Student();
}
}
student를 Bean으로 등록하기 위해 Config Class를 임의로 만들고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부여했다. 그 후 Student 객체를 반환하는 Method를 작성하고 @Bean 어노테이션을 부여한다.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ApplicationContext 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licationConfig.class);
Student student = context.getBean("student", student.class);
}
}
Annotation을 기반으로 Bean을 등록했으므로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객체를 생성하고 매개변수로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부여한 ApplicationConfig 클래스를 넘겨준다. 그 후 getBean을 이용하여 사용하면 된다.
6. @Component 사용방법
@Component 이 부여된 Class 들은 자동으로 IOC Container에 Bean으로 등록이 되는데 IOC Container에게 이러한 어노테이션이 부여된 Class를 자동으로 Bean으로 등록하라고 하기 위해서 XML파일에 따로 설정이 필요하다.
우선 XML파일을 연 뒤 하단에 Namespaces탭을 클릭하고 context를 체크한 다음 저장을 한다.
그러면 다시 Source 탭으로 돌아와 <context:component-scan base-package="com.java.ex">
-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어로 클라이언트와 상호작용하는 S/W를 디자인함에 있어 세가지 요소로 쪼개어 하는 것을 말합니다.
MVC 패턴
Model2
Model
서비스 클래스 or javabean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모든 것들이 모델에 속합니다. 컨트롤러로부터 특정 로직에 대한 처리 요청(ex: 게시판 글쓰기, 회원가입, 로그인 등)이 들어오면 이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컨트롤러에 반환한다. 필요한 정보는 request 객체나 session 객체에 저장하기도 한다.
Controller
서블릿
MVC 패턴(모델 2) 모든 흐름 제어를 맡는다. 브라우저로부터 요청이 들어오면, 어떤 요청인지를 분석하여 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모델을 사용하여 처리한다. 사용한 모델로부터 처리 결과르 받으면 추가로 처리하거나 가공해야할 정보가 있다면 처리 후 request 객체나 session객체에 저장하고, 뷰(jsp페이지)를 선택하여 foward나 redirect 하여 클라이언트에 출력한다
View
JSP 페이지
클라이언트에 출력되는 화면을 말합니다. 모델 1과 달리 로직 처리를 위한 코드가 내포되어 있지 않습니다. 요청 결과의 출력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에 요청을 보내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request 객체나 session 객체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화면을 출력합니다.
2. Model1
- JSP로 구현한 기존 웹 어플리케이션은 모델1 구조로 웹 브라우저의 요청을 JSP페이지가 받아서 처리하는 구조입니다.
JSP페이지에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기 위한 코드와 웹 브라우저에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출력 관리 코드가 뒤섞여 있는 구조로 JSP페이지 안에서 모든 정보를 표현(view)하고 저장(model)하고 처리(control)되므로 재사용이 힘들고 읽기도 힘들어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즉, 요약하자면 모든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응답을 jsp가 담당하는 구조로 장점은 단순한 페이지 작성으로 쉽게 구현이 가능합니다. 중소형 프로젝트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웹 어플리케이션이 복잡해지면 유지보수가 힘들어 집니다.
3. Model2
- Model1 구조와 달리 웹 브라우저의 요청을 하나의 서블릿이 받습니다. 서블릿은 웹 브라우저의 요청을 알맞게 처리한 후 결과를 JSP페이지로 포워딩합니다.
즉, 클라이언트의 요청 처리와 응답처리, 비지니스 로직 처리하는 부분을 모듈화시킨 구조로 장점은 처리작업의 분리로 인해 유지보수와 확장이 용이하지만 구조 설계를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개발 기간이 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