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젝트를 위와 같이 3-tier로 구성하는 가장 일반적인 설명은 '유지보수'에 대한 필요성 때문입니다. 각 영역은 독립적으로 설계되어 나중에 특정한 기술이 변하더라도 필요한 부분을 전자제품의 부품처럼 쉽게 교환할 수 있게 하자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각 영역은 설계 당시부터 영역을 구분하고, 해당 연결 부위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방식입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네이밍 규칙을 가지고 작성합니다.

  • xxxController: 스프링 MVC에서 동작하는 Controller 클래스를 설계할 때 사용합니다.
  • xxxService, xxxServiceimpl: 비지니스 영역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는 'xxxService'라는 방식을 사용하고,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는 'xxxServiceImpl'이라는 이름을 사용합니다.
  • xxxDAO, xxxRepository: DAO(Data-Acess-Object)나 Repository(저장소)라는 이름으로 영역을 따로 구성하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다만 여기서는 별도의 DAO를 구성하는 대신에 MyBatis의 Mapper 인터페이스를 활용합니다.
  • VO, DTO: VO와 DTO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의미로 사용하는 용어로, 데이터를 담고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다만. VO의 경우는 주로 Read Only의 목적이 강하고, 데이터 자체도 Immutable(불변)하게 설계하는 것이 정석입니다. DTO는 주로 데이터 수집의 용도가 좀 더 강하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웹 화면에서 로그인하는 정보를 DTO로 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출처: 코드로 배우는 웹 프로젝트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