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on-startup

2020/JSP SERVLET 2019. 12. 3. 20:40
반응형

  서블릿은 브라우저에서 최초 요청시 init() 메서드를 실행한 후 메모리에 로드되어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최초 요청에 대해서는 실행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용하는 기능이 load-on-startup입니다.

 - 특징은 톰캣 컨테이너가 실행되면서 미리 서블릿을 실행합니다.

 - 지정한 숫자가 0보다 크면 톰캣 컨테이너가 실행되면서 서블릿이 초기화 됩니다.

 - 지정한 숫자는 우선순위를 의미하며 작은 숫자부터 먼저 초기화됩니다.

load-on-startup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애너테이션을 이용하는 방법과 web.xml에 설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
반응형

ServletConfig는 각 Servlet 객체에 대해 생성됩니다.

sInit2 또한 같이 출력됩니다.

반응형

'2020 > JSP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ssion Tracking이란?  (0) 2019.12.03
load-on-startup  (0) 2019.12.03
ServletContext 파일 입출력  (0) 2019.12.03
ServletContext 매개변수 설정/ web.xml매개변수 설정/context-param  (0) 2019.12.03
ServletContext binding  (0) 2019.12.03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
반응형

우선 해당 프로젝트의 WebContent/WEB-INF에 폴더를 하나 생성해주고 그 안에 init.txt 파일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init 파일 안에 이렇게 입력해 주고

이제 init.text에서 메뉴데이터를 읽어와 출력하는 기능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프로젝트에

구현할 ContextFileServlet 클래스 파일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getServletContext()메서드로 ServletContext에 접근하여 getResourceAsStream() 메서드에서 읽어 들일 파일 위치를 지정한 후 파일에서 데이터를 입력 받습니다.

실행해 보겠습니다.

이렇게 파일을 불러와 브라우저로 출력이 완료 되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
반응형

대부분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메뉴는 공통으로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web.xml에 설정해놓고 프로그램 시작 시 초기화할 때 가져와서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우선 WebContent / WEB-INF 안에 web.xml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context-param> 태그안에 <param-name> 태그와 <param-value> 태그를 이용해 메뉴에 대한 하위 메뉴 항목을 설정합니다.

getServletContext() 메서드로 ServletContext 객체에 접근하여 getInitParameter()메서드의 인자로 각각 메뉴 이름을 전달 한 후 메뉴 항목들을 가져와 이를 브라우저로 출력합니다.

반응형

'2020 > JSP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letConfig annotation  (0) 2019.12.03
ServletContext 파일 입출력  (0) 2019.12.03
ServletContext binding  (0) 2019.12.03
Jsp Servlet(ServletContext, 메서드, 특징, 기능)  (0) 2019.12.02
Jsp Servlet dispatch forward binding  (0) 2019.12.02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
반응형

getServletContext()메서드를 이용해 ServletContext 객체에 접근한 다음 ArrayList에 이름과 나이를 저장한 후 다시 ServletContext 객체에 setAttribute() 메서드를 이용해 바인딩합니다.

getServletContext()메서드를 이용해 ServletContext 객체에 접근합니다. 그리고 getAttribute() 메서드를 이용해 다른 서블릿에서 바인딩한 ArrayList를 가져와 회원 정보를 출력합니다.

http://localhost:8080/pro08/cget

http://localhost:8080/pro08/cset

확인합니다.

이처럼 ServletContext에 바인딩된 데이터는 모든 서블릿(사용자)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모든 사용자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데이터는 ServletContext에 바인딩해 놓고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
반응형

 

 

복사후에 터미널을 작동 하시고

wget 복사한 링크 주소를 붙여넣기 하시면 설치가 됩니다.

다운 받은 압축파일을

풀어주시고

압축푼 디렉토리를 옮겨주겠습니다.

cd /usr/local/hadoop/etc/hadoop 로 들어간 다음에

gedit hadoop-env.sh를 쳐서

 

쉘 스크립트 내용을 수정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그 후에 gedit .bashrc 를 입력하시고

화면에 #JAVA_HOME 설정 이하를 입력해 줍니다

 

source .bashrc 를 입력하면 .bashrc에 있는 환경변수들이 적용됩니다.

echo $HADOOP_HOME 확인

echo $PATH

hadoop version 

확인을 해주시면 됩니다.

 

아래의 xml파일을 설정해 보겠습니다.

 

 

 

 

 

아래처럼 템플릿 복사후 gedit mapred-site.xml

 

gedit yarn-site.xml

 

 

# rsa 는 암호화 방식입니다

반응형

'2020 > Data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doop 설치 전 확인사항 (virtualbox ubunto)  (0) 2019.12.03
Hadoop 기반 빅데이터 시스템/ 사례  (0) 2019.12.03
Hadoop ecosystem  (0) 2019.12.03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
반응형

설치 전 VirtualBox에 Ubuntu 가상 머신을 만들어져 있어야 합니다.

반응형

'2020 > Data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doop 설치, namenode,hdfs-site,MapReduce,yarn,ssh  (0) 2019.12.03
Hadoop 기반 빅데이터 시스템/ 사례  (0) 2019.12.03
Hadoop ecosystem  (0) 2019.12.03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
반응형

반응형

'2020 > Data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doop 설치, namenode,hdfs-site,MapReduce,yarn,ssh  (0) 2019.12.03
Hadoop 설치 전 확인사항 (virtualbox ubunto)  (0) 2019.12.03
Hadoop ecosystem  (0) 2019.12.03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