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ut 내장객체를 사용해 출력하겠습니다.

 

첫번째 페이지인 out1.jsp를 작성하고 이름과 나이를 두 번째 jsp로 포워딩 하겠습니다.

 

  이름과 나이를 받아 post방식으로 out2.jsp에 보냈습니다.

  그러면 전송된 이름과 나이를 표현식과 out 내장객체를 이용해 출력하겠습니다.

이제 탐캣을 실행시켜 브라우저를 요청하겠습니다.

전 박보영님 팬이기에 이렇게 입력하였습니다.

이제 전달받은 정보를 표현식과 out 내장객체로 출력하겠습니다.

out 내장객체를 이용해 스크립트릿으로 출력하면 복잡한 코드를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출력이 가능하네요!

 

출처 : 자바웹을 다루는 기술

github: github.com/soulwine-it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
반응형

브라우저의 요청에 대한 request 객체에 name과 address를 바인딩합니다. 그리고 RequestDispatcher를 이용해 requeest 객체를 두 번째 JSP로 포워딩 합니다.

첫번째 JSP에 전송된 request 객체에서 바인딩된 name과 address를 가져옵니다.

브라우저에서 request1.jsp로 요청하면 request 객체에 바인딩 한 후 request2.jsp로 포워딩하여 이름과 주소를 출력합니다.

출처: 자바웹을 다루는 기술

github : github.com/soulwine-it

반응형

'2020 > JSP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페이지 예외 처리  (0) 2019.12.16
out 내장객체 데이터 출력  (0) 2019.12.16
application 내장객체 데이터 바인딩  (0) 2019.12.12
session 내장 객체 데이터 바인딩 실습  (0) 2019.12.12
JSP 내장객체  (0) 2019.12.12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
반응형

appTest1.jsp와 appTest2.jsp로 실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으로 session과 application 내장객체에 name과 address값을 바인딩 하겠습니다.

 

 

session과 application 내장 객체에 바인딩한 값을 가져옵니다.

실행 결과

 

하지만 익스플로러에서는 application의 값에만 접근 할 수 있습니다.

 

 

github.com/soulwine-it

출처 : 자바 웹을 다루는 기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
반응형

SessionTest 서블릿을 생성해 주고 test01폴더를 생성하고 그 안에 session1.jsp 와 session2.jsp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서블릿에서 getSession() 메서드를 이용해 session 객체를 얻은 후 name을 바인딩합니다.

 

 

  session1.jsp 에서 session 객체의 사용법은 서블릿에서 배운 HttpSession 사용법과 같습니다. 다른점이라 하면 JSP에서는 자동으로 세션 객체를 생성해 주므로 굳이 getSession() 메서드를 호출해서 세션을 얻을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getAttribute() 메서드를 이용해 첫 번째 JSP에서 session에 바인딩된 name값을 가져온 후 setAttribute()메서드를 이용해 session에 address를 바인딩합니다.

 

  session2.jsp에서는 getAttribute()를 이용해 서블릿과 JSP에서 session에 바인딩된 name과 address값을 가져옵니다.

 

session2.jsp

실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github : github.com/soulwine-it

출처: 자바 웹을 다루는 기술

반응형

'2020 > JSP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request 내장 객체에 데이터 바인딩 실습  (0) 2019.12.12
application 내장객체 데이터 바인딩  (0) 2019.12.12
JSP 내장객체  (0) 2019.12.12
JSP 이미지 리스트 출력  (0) 2019.12.12
JSP 구구단 출력  (0) 2019.12.12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

JSP 내장객체

2020/JSP SERVLET 2019. 12. 12. 18:15
반응형
내장 객체 서블릿 타입 설명
request HttpServletRequest 클라이언트의 요청 정보를 저장합니다.
response ServletResponse 응답 정보를 저장합니다.
out javax.servlet.jsp.JspWriter JSP 페이지에서 결과를 출력합니다.
session javax.servlet.http.HttpSession 세션 정보를 저장합니다.
application javax.servlet.ServletContext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합니다
pageContext javax.servlet.jsp.PageContext JSP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합니다.
page java.lang.Object JSP페이지의 서블릿 인스턴스를 저장합니다.
config javax.servlet.ServletConfig JSP페이지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합니다.
exception java.lang.Exception 예외 발생 시 예외를 처리합니다.

Scope

내장 객체 서블릿 scope
page this 한 번의 요청에 대해 하나의 JSP페이지를 공유합니다.
request HttpServletRequest 한 번의 요청에 대해 같은 요청을 공유하는 JSP페이지를 공유합니다.
session HttpSession 같은 브라우저에서 공유합니다.
application ServletContext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공유합니다.

출처: 자바웹을 다루는 기술

반응형

'2020 > JSP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ication 내장객체 데이터 바인딩  (0) 2019.12.12
session 내장 객체 데이터 바인딩 실습  (0) 2019.12.12
JSP 이미지 리스트 출력  (0) 2019.12.12
JSP 구구단 출력  (0) 2019.12.12
JSP 학점 변환  (0) 2019.12.11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
반응형

  스크립트릿을 이용해 image 폴더의 이미지를 가져와서 리스트로 출력하는 예제를 실습하겠습니다.

 

리스트로 출력하는 기능은 웹페이지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github: github.com/soulwine-it

출처 : 자바웹을 다루는 기술

반응형

'2020 > JSP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ssion 내장 객체 데이터 바인딩 실습  (0) 2019.12.12
JSP 내장객체  (0) 2019.12.12
JSP 구구단 출력  (0) 2019.12.12
JSP 학점 변환  (0) 2019.12.11
스크립트 요소 로그인  (0) 2019.12.11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
반응형

  구구단의 단수를 전송 받은 후 구구단을 자바 for문과 <table> 태그의 <tr> 태그를 이용해 리스트로 출력하는 예제를 실습해 보겠습니다.

 

gugu.jsp

 

gugu2.jsp

반응형

'2020 > JSP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내장객체  (0) 2019.12.12
JSP 이미지 리스트 출력  (0) 2019.12.12
JSP 학점 변환  (0) 2019.12.11
스크립트 요소 로그인  (0) 2019.12.11
JSP 주석문  (0) 2019.12.11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
반응형

  임의의 그래프를 그려보겠습니다.

  그래프를 그리기 위해서는 matplotlib의 pyplot 라이브러리와 그래프 표시를 위하여 %matplotlib inline을 추가해줍니다.

3차 함수 f(x)=(x-2)x(x+2) 그리기

    f(x)=(x-2)x(x+2)의 그래프를 그려 봅시다. 이 함수의 수식이라면 x=-2,0,2에서 0이 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지만, 그래프를 그려보지 않으면 잘 알수 없습니다.

  먼저 함수 f(x)를 정의합니다.

  x는 ndarray 배열이며 각각에 대응한 f를 한꺼번에 ndarray로 돌려줍니다. 벡터의 사칙 연산은 각 요소마다 이루어지는 성질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프를 그리는 x의 범위를 -3에서 3까지로 하고, 그 범위에서 계산한 x를 간격 0.5로 정의해 봅시다

  np.arange(-3, 3, 0.5)로 하면 2.5까지의 범위를 다루므로, 3보다 큰 np.arange(-3, 3.5, 0.5)로 설정한 점에 주의하세요

 

  그런데 그래프의 x를 정의하는 경우에는 arange보다 linspace라는 명령이 사용하기 쉬울지도 모릅니다.

  linspace(n1, n2, n)하면 범위 n1에서 n2 사이를 일정 간격 n개의 구간으로 나누 값을 돌려줍니다

  linspace를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n2가 x의 그래프에 포함되고, 그래프의 세밀함도 n으로 간단히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제 그래프를 그려보겠습니다

그럼 여기서 x를 사용하여 f(x)의 그래프를 그려봅시다. 다음처럼 실행 결과가 나타납니다.

 

  그런데 이 그래프는 정말로 x= -2, 0, 2일때 f(x)가 0의 값을 갖는지 여부를 알기 어렵습니다. 또한 함수의 계수가 변경될 때 그래프가 어떻게 변하는지도 궁금한 분도 있을 겁니다. 그래서 조금 손질한 그래프를 그려보겠습니다.

  그래프도 매끄러워지고, 그리드와 라벨, 제목 범례가 들어갔습니다. 이제 함수 f(x)=(x-2)x(x+2)가 x축과 반나는 점은 -2, 0, 2라는 것이 명확해 졌습니다.(검은 선 : w=2). 또한 w=1일 때, 즉 f(x) = (x-2)x(x+2)이 되면 x축과 만나는 점이 -2, 0 ,1이 되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파란선 : w = 1)

 

  그래프를 여러개 보여주기

  여러 그래프를 나란히 표시하려면 plt.subplot(n1, n2, n)을 사용하여 전체를 세로 n1, 가로 n2ㄱ로 나눈 n번째에 그래프가 그려집니다. 번호는 왼쪽 위부터 1번째, 그 오른쪽이 2번째라는 식으로 할당됩니다. 맨 오른쪽까지 오면 한 행 내린 후 왼쪽 끝에서 시작합니다. plt.subplot의 n은 특별하게도 0이 아닌 1부터 시작하므로 주의해 주세요. 0을 지정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plt.figure(figsize=(w,h))는 전체 영역의 크기를 지정합니다.

  가로 길이는 w이고 세로길이는 h입니다. subplot으로 늘어놓을 때, 좌우 및 상하 간격은 plt.subplots_adjust(wspace=w, hspace=h)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2020 >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라스(Keras)와 텐서플로(TensorFlow) 설치  (0) 2019.12.10
Tensorflow 분류하기  (0) 2019.12.09
Tensorflow로 BMI측정  (0) 2019.12.09
Tensorflow basic  (0) 2019.12.06
SKLearn 분류(IRIS) scikit-learn IRIS  (0) 2019.12.06
블로그 이미지

꽃꽂이하는개발자

,